[#19. 알로하뉴스레터] 성공적인 게임 라이브 서비스를 위한 필수 데이터 모니터링 가이드
모바일 게임 운영에서 전략적으로 분석하고 모니터링 해야 하는 가이드
2024. 10. 30.
[#19. 알로하뉴스레터] 성공적인 게임 라이브 서비스를 위한 필수 데이터 모니터링 가이드
모바일 게임 운영에서 전략적으로 분석하고 모니터링 해야 하는 가이드
🎉 게임을 런칭 하셨나요? 이제 무엇을 하면 될까요?
게임을 스토어에 출시하였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라이브 서비스 운영을 시작할 때입니다.
게임 출시 이후 라이브 서비스 단계에서는 활성유저, 수익성 관점에서의 핵심 성과 지표(KPI)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게임의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개선 사항을 빠르게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모바일 게임 런칭 후 필수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할 기본적인 지표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어떤 지표를 모니터링 해야 하나요?
1. 트래픽 지표
📊필수 트래픽 지표들
유저의 참여 빈도 및 게임의 잠재력 측정을 위한 트래픽 지표 모니터링하기 ex: DAU, MAU
유저 획득을 측정하는 트래픽 지표 모니터링 ex: NRU(신규유저)
유저 초기-중기-장기 게임성의 유지율 모니터링 ex: 리텐션
DAU는 단기적인 참여도를 보여주고, 특정 이벤트나 업데이트가 유저들에게 얼마나 즉각적인 반응을 끌어내는지 측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 MAU는 장기적인 사용자 유지율을 반영하여, 게임이 얼마나 오랫동안 유저의 관심을 끌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즉, 운영단계에서 MAU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 이는 게임이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Active User의 모니터링도 필요하지만, 이는 마케팅, 이벤트 등의 일시적인 영향으로 전체 경향성을 보기 어려운 경우도 있으므로, 꾸준히 게임을 즐기는 유저의 규모가 증가하는지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즉, 전체적인 Active User의 규모가 꾸준하게 증가하는 것이 라이브 서비스에서는 안정적인 운영으로 볼 수 있습니다.
Retention (리텐션)은 게임의 콘텐츠와 게임 플레이가 얼마나 유저들에게 매력적인지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리텐션은 플레이어의 로열티를 판단하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오가닉 유저를 확보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모바일 게임이 수익성 있는 성장을 위해 확보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충성도입니다.
해당 지표를 통해 로열티가 높은 유저의 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타겟을 대상으로 구매 유도 및 수익화 전략을 수립해볼 수 있습니다.
2. 수익성 지표
📊필수 수익성 지표들
수익화 설계의 판단을 위한 지표 ex: ARPDAU, ARPPU, PU
게임의 수익성 판단을 위한 지표 (유저 유입 대비 비용 관점) ex: ROI, ROAS
ARPDAU (Average Revenue Per Daily Active User)는 게임의 수익화 성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합니다. ARPDAU는 마케팅 캠페인이나 게임 내 상품 가격 전략을 조정하는 기준이 되며, 유저 생애 가치(LTV)와도 연결되어 있어 신규 유저 획득 비용 설계와 수익성 높은 채널 평가에 필수적입니다.
ARPPU (Average Revenue Per Paid User)는 과금 유저의 지출 수준을 평가합니다. ARPPU가 높을수록 매출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PU (Paying User)는 유료 결제를 한 유저를 의미하며, PU%는 전체 사용자 중 유료 결제자의 비율입니다. PU%를 높이는 것은 게임 수익성 향상의 핵심 과제로, 보상 밸런스 조정, 구매 튜토리얼 개선, 타겟 상품 제공, 재결제율 향상 등의 전략이 필요합니다.
ROI (Return on Investment)는 투자한 비용 대비 수익을 평가하는 지표로, 안정적이고 증가 추세인지 모니터링합니다. ROI가 낮으면 수익성이나 마케팅 전략을 점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