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소재 중 어떤 소재가 효율이 좋은지 테스트 합니다.CPI 및 IPM 결과에 따라 테스트 소재 중 위너를 구분합니다. 크라운 럼블은 CPI가 낮은 Tier3 국가 중 필리핀에서 소재 당 $10 를 할당하여 3일간 진행하였습니다.
* 페이스북 캠페인에서 1개의 소재를 1개의 광고세트로 구성할 경우 예산을 강제로 할당하여 특정 소재만 노출되지 않도록 소재 별 동일한 예산으로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STEP 5] 추가 테스트 및 운영
2차+α 테스트에서는 1차 테스트 결과에 따라 아래의 사항을 조정합니다.
(1) 위너 소재를 테스트에 추가 위너 소재를 테스트에 추가하여 향후 테스트에서 성과가 더 우수한 소재를 제작했는지 기준으로 삼습니다.
(2)위너 소재 고도화 1차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성과가 좋았던 영상을 고도화 합니다. 기존 영상 광고의 흐름을 유지하되, 영상을 개선할 수 있는 부분을 분석하여 추가 제작합니다.
(3)위너 소재 방향성의 제작 개수 상향 성과가 우수했던 소재 방향성의 소재 개수를 더 많이 제작합니다. 예를 들어, ‘Story’ 에서 위너가 3개 ‘Trend’에서 1개 나올 경우, 2차 테스트에서는 ‘Story’ 카테고리의 영상을 ‘Trend’ 보다 더 많이 제작합니다.
우수한 소재들을 준비하는 것이 마케팅의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런칭 캠페인 시 효율적인 운영과 더불어 장기적으로 우수한 소재를 잘 찾아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마케터의 심리적 안정(?)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