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기본적인 게임성 지표가 충족되었을 경우, 게임의 수익 최적화를 위해 상품 판매 및 게임 밸런스 등을 고도화하는 단계입니다.
목표 D7 ROAS (Return on Advertising Spend)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게임 내 수익성 관련 콘텐츠를 최적화합니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게임 내 콘텐츠, 재화, 난이도 밸런스 확인부터 상품 구성, 노출, 효율 차등화 등을 중점적으로 최적화합니다.
최적화를 진행하면서 지속적인 유저 유입을 통해 실제 성과로 반영되었는지를 데이터를 통해 빠르게 확인하며 개선합니다.
이러한 단계별 접근 방식은 게임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장기적인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데이터 분석을 통한 게임성 고도화
알로하팩토리는 주요 지표를 충족하지 못하여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에도 게임의 가능성을 여러 가지 데이터로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크게는 게임의 기본 메카닉이 유효한지부터, 작게는 콘텐츠가 적절한 타이밍과 난이도로 세팅되었는지 등을 Aloha SDK 연동을 통해 효율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리텐션과 CPI를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더욱 상세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선 사항을 도출합니다. 유저들의 각 일차, 세션 접속 시간, 스테이지, 시간 당 잔존율 등을 확인하여 어디가 부족하고 개선해야 하는지를 평가합니다.
<붙임1. 각 스테이지 별 이탈률>
<붙임2. 시간 당 잔존율>
우리는 정답을 향해 나아갑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우리는 게임의 성과를 측정하고 고도화하여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단계별 프로세스가 모든 게임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게임 시장의 상황과 게임의 스펙에 따라 예상되는 흥행 성과는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기준 지표 역시 변화할 수 있습니다. 알로하팩토리의 장점은 이러한 각각의 상황에 맞춘 맞춤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게임성 테스트를 통과한 게임을 대상으로 수익 고도화를 어떻게 진행하는지에 대해 공유드리겠습니다.